<미국 미시건대 박동진 교수가 들려주는 이민가정의 자녀 양육법>
미국의 하바드 대학은 이 세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관이다. 이 지상의 모든 조직 중에 두번째로(첫번째는 천주교라고 한다) 부자인 곳이기도 하다.
1923년에 미국의 하바드대학을 세운 설립취지는 이렇다. "모든 학생들로 하여금 교육을 받아 그의 삶이 목적을 알고, 요한복음 17장 3절 말씀처럼 영생인 하나님과 그리스도 예수를 알며, 그래서 그리스도를 기초로 두고 그 위에 모든 건전한 지식과 배움을 세운다”
한국인들은 세계 다른 민족들에 비해서 남다른 점이 있다. 박 교수는 그 예를 이렇게 재미나게 들고 있다. 한국인의 5천년 역사. 단일 민족. 1천번 이상 외침을 받는 '한(恨)'의 민족. 가장 빨리 부자가 되고, 기독교화되고, 민주화된 나라. 중고등학생의 경우 가장 많이 유학생을 갖고 있는 나라(대학생은 3위). 술 중독이 심하고 남의 것을 복사 잘하는 나라. '빨리빨리'의 나라(세계사전에도 들어있다). 인터넷과 모바일을 최고로 사용하는 나라. 이민 1세대가 가장 헌신하는 나라. 43%가 자영업을 하는 민족(남의 밑에서 일하기 싫어한다). 성적과 졸업률이 가장 좋은 민족 등등.
그런가 하면 세계의 많은 영적 지도자들은 한국이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다. 잘 알려진 기독교 지도자 로렌 커밍헴은 "한국을 통해 세계가 축복을 받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는 한국 교회가 열쇠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님이 한국인을 사용할 것이라고 했다. 존 더슨 목사 역시 미국의 부흥을 위해 한국인들을 쓰실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우, 한인 교민 사회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지난 2003년 미국 교민신문은 미국 이민 1백주년을 맞아 한인사회의 미래가 어둡다는 시리즈 기사를 냈다. "그러나 저는 그 기사들을 보고 오히려 신났습니다. 문제가 터졌다는 것은 오히려 치료할 기회가 생긴 것이죠. 암이라는 질병은 빨리 발견하면 거의 치료됩니다. 문제를 덮으면 죽게 되는 것이죠."
박 교수는 한인사회의 문제로 다음 세가지를 짚었다. 첫째는 다음 세대를 위해 이민왔는데 그 다음 세대가 위기 속에 있다는 점, 둘째는 한인의 영향력이 약하다는 점, 셋째가 미래의 리더십이 없다는 점이다.
"하고 싶은 말이 서로 다른 세대"
이민 1세대와 다음 세대와의 갈등 문제에 대해, 박 교수는 한인 학생들이 부모님에게 하고 싶은 말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했다.
한인 학생들이 부모님들에게 하고 싶은 말로 나온 대답들.
- 1세대는 모르는게 너무 많다, 내 말을 좀 진지하게 들어줬으면 좋겠다(엄마가 이야기좀 하자, 해서 이야기하면 나중에 꼭 그런다, '쓸데없는 이야기 그만 하구 공부좀 하라'구. 다시 이야기하고 싶지 않을만큼 마음이 닫힌다),
- 부모님이 위선자 같은 삶을 그만 살았으면 좋겠다,
- 세월이 변한 것을 알았으면 좋겠다(날마다 '우리 옛날에는 신발도 없이 10리를 걸어다녔는데 너희는 여덟켤레 신발 있는데 또 사냐?' 그러나 우리는 지금 10리를 걸어다니는 시대가 아니다),
- 남과 비교 좀 안했으면 좋겠다.
- 큰 집, 큰 차보다 큰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다(큰 차를 사서 더 돈 벌어야 하고 큰 집을 샀으니 더 돈 벌어야 하고, 그래서 부모님과 얼굴 마주할 시간도 없다. (현재 미국의 부모 자식간 대화 시간은 모든 것 합쳐 불과 8분이라고 한다),
- 체면 차리지 말았으면, 세금을 속이지 말고, 우리가 1세대 부모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알았으면 한다, 나 좀 그만 때리라고 말해주세요…
이에 반해 이번엔 1세대 부모들은 다음 세대에게 이런 말을 하고 싶어했다.
모두 한국 군대에 보내야 한다, 아이들이 스포일드됐다(soiled), 맞아야 된다, 안맞아서 스포일드된 거다, Ssac a gi aub nun gha ssic deul(이 말은 미국얘들도 안다고 한다. 미국 친구 데리고 가면 어머니들이 그들에게 하는 말(?)이라는데), 우리 부모들이 문화, 언어 모르는 것 때문에 차별 받으며 살고 있다는 것을 아이들이 알았으면, 모든 것을 자식들에게 줬는데 남은 것이 없다, 얻을 것은 다 얻었는데, 자식들을 잃었다, 우리가 그들을 사랑했는데, 이제 우리가 사랑이 필요하다 등등.
'영향력'에 있어서도 미국의 경우 한인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있고 선호되는 민족을 조사하면 한인들은 항상 끝에서 헤맨다고 한다.
"한인 대학생들의 현주소"
'리더십'에 있어서도 그 결과가 좋지 못하다. 미국대학에서 한인학생들의 상태를 조사해봤다. 그 결과 한인 학생들은, 대학활동에 가장 참여하지 않는 학생, 자원봉사를 가장 하지 않는 학생, 리더십이 가장 적은 학생, 교수를 제일 찾아가지 않은 학생, 대학에서 술을 가장 많이 마시는 학생(한국의 술문화는 미국인들도 좋아한다. '원샷'하며 머리위에 빈술잔을 터는 행동을), 우울증이 가장 많은 학생, 자살율이 가장 높은 학생(남자의 경우만 보면 평균보다 100배 높다고 한다), 역시 자살 시도다 가장 높은 학생 등등, 별로 유쾌하지 못한 결과다.
박 교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올바른 아이덴터티(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미국에서 한인이 미국인으로 행세해도 미국인으로 완전히 봐주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한국인으로 일하면 또 받아주지 않습니다. 우리는 200%의 수용능력이 필요합니다. 미국에서는 미국인으로, 한국에서는 한국인으로, 두 나라를 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미국인의 정체성과 한국인의 정체성을 완전히 가져야 합니다. 새로운 아이덴터티가 필요하죠.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크리스천으로 '하나님이 보내신 대사'라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나라와 국경을 떠나서 어디를 가서든지 나는 하나님이 보낸 대사라는 자의식이 우리를 당당하게 만듭니다."
누가 세계를 움직일 수 있나? 동양과 서양을 끌어안을 수 있는 사람일 것이다. 한국인의 약점은 그런 의미에서 가장 큰 강점으로 바뀔 수 있다.
박 교수는 한인 학생들이 그런 자신감을 바탕으로 자신을 당당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계발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한인 학생들이 능력에 비해서 그것을 표현하는 실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Selfassertiveness' 즉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표현력이 좋은 사람이 서양사회에서는 성공할 수 있다. 그렇게 자기를 표현하는 것을 말이 많다, 건방지다 라고 보는 한국적 사고방식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것.
또 하나 중요한 것이 바로 부모들이 모델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박 교수는 주문한다.
그는 "부모가 자기 자녀가 되기 원하는 사람의 모습을 직접 삶을 통해서 보여줄 때에 그것보다 더 확실하고 안정적이고 분명한 자녀 교육은 없다"면서 "그런 가정에서는, 이민 가정으로서 겪을 수 있는 부모 자식간의 어떤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고 밝혔다. <크리스찬라이프>
'뉴질랜드 살아가기 > 뉴질랜드 이민·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 기름값 할인 경쟁 치열 (0) | 2006.11.22 |
---|---|
뉴질랜드 단기 방문객 사상 최고치 (0) | 2006.11.21 |
추수감사절 예배 (0) | 2006.11.20 |
베이 10월 주택 판매가, 거래량 모두 하락 (0) | 2006.11.18 |
<강추> 타우랑가 소개 동영상 ! (0) | 2006.11.17 |